정보/경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란 뭘까? (정보, 특징, 장단점)

빈노트 2024. 5. 2. 20:42
728x90

안녕하세요! 빈노트입니다:) 

경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 해보자는 마음이 들었는데 용어부터 막혀버렸습니다.. 

앞으로는 용어나 관련 경제와 관련된 이야기를 저의 빈 노트를 차곡차곡 채워나가 보려고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ISA 계좌입니다! 최근 많이 화두가 되고 있는 계좌인데요! 간단한 정보 정리해 봤습니다! 

 

Pixabay 로부터 입수된  Sergii Koviarov 님의 이미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다양한 금융 상품(국내 주식, 펀드, 예금, *리츠, *ELS, *DLS) 등의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하나의 계좌에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계좌'입니다. 크게 상품은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의 형태로 나누어지고 있으며 비과세 등의 다양한 혜택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츠 :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
ELS(주가연계증권) :개별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 등에 연동하여 수익률이 결정되는 신종 유가증권으로 증권사에서 발행 판매하는 상품
DLS(파생결합상품) :이자율, 환율, 실물자산(금, 원유 등), 신용위험(부도위험, 파산) 등 다양한 기초자산과 연계되어 수익률이 결정되는 신종 유가증권으로 증권사에서 발행 판매하는 상품

 

ISA 계좌 가입 유형

고객이 직접 관리하는 신탁형 ISA와 가입한 은행에서 관리해주는 일임형 ISA 2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유형에 따라 수수료가 다르게 붙으며, 가입 금액에도 차이가 존재합니다. 

 

ISA 계좌 가입 대상

구분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
가입대상 19세 이상 거주자
15세 이상 19세 미만 근로 소득자
총 급여액 : 5천만원 이하 근로자
소득금액 : 3천 8백만원 이하 사압자
농어민(소득금액 3천 8백만원 이하)
가입금액 일임형 : 10,000원 | 신탁형 ISA : 원 단위
의무기간 3년 동안
비과세 한도 200만원 400만원  400만원

 

ISA 계좌의 장점

  • ISA 계좌 일반는 200만 원, 월 5천만 원 이하의 직장인의 경우 비과세 400만 원까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
     서민형 기준 순 이익이 400만 원 이하일 경우 전액 비과세, 그 이상 수익이 발생할 경우 분리 과세 9.9%가 발생함. 
  • 손익 통산 방식의 세제 혜택이 있음. 
손익 통산 방식 :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발생한 나머지 이익에 관해서만 과세를 적용하는 것
(단 특별중도해지 사유 제외하고는 미적용한다)

 

ISA 계좌의 단점

  • 의무 기간 3년 동안 필수.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음.
  • 국내주식, 리츠 등의 금융상품은 직접 투자가 가능하나 해외 주식은 직접 투자하는 것이 불가능 (우회하는 방식)
  • 연간 2천만원까지만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금액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의미 없을 수 있음.
  • ISA 계좌 운용에 따른 수수료는 0.3% ~ 0.8% 사이

 

결론

요즘 금융투자소득세로 인해 ISA 계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우선 금투세에 해당사항이 있는 투자자라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최소 200만 원 이상의 비과세와 손익통산 방식으로 좀 더 절세하기 좋습니다.

우선 주식 등 기본적인 투자 자산이 있는지, 어떤 상품에 투자할건지 고려해 보고 신청할 필요가 있을 듯해 보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많이 화두가 되고 있는 주제라 조사해 봤지만 주식 계좌가 없기에.. 아직 해당사항은 없지만, 추후 해외 주식을 해볼 의향이 있기 때문에 좋은 방향으로 고려해 볼 것 같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 : 주식, 채권, 펀드, 파생 상품 등에 투자해 얻은 연간 수익이 일정금액* 을 넘을 경우 초과한 소득의 20~25%만큼 부과하는 세금이다. 원래는 2023년 시행 예정이었으나 2025년으로 미루어져 시행될 예정.


*국내 주식/ 펀드 5천만 원, 해외 투자 250만 원

 

 

 

정리하면서도 다양한 투자 상품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저의 빈 노트를 차곡차곡 채워나갈 정보들로 가지고 와볼게요! 감사합니다:) 


KB국민은행(ISA) :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41164

한국리츠협회(리츠) : https://kareit.or.kr/invest/page1.php

교보증권(ELS, DLS) : https://www.iprovest.com/financial/elsdls/elsdlsintro.htm

금융투자소득세 (토스) : https://www.tossbank.com/articles/2574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