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빈노트입니다:) 슬슬 경제 공부를 해야겠다! 하고 생각하던 찰나! 새롭게 뉴스 구독을 하게 되었는데요! 그 곳을 보고 한번 내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경제시사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미리 안내!
저는 주식 및 경제 용어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하며, 이번 기회를 통해 공부해나가려고 합니다! 그렇기에 제가 작성하는 경제 용어에 대한 설명은 틀리거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현물 etf 출시를 앞둔 이더리움 가격 향방은?
☞ https://news.uplus.co.kr/s/BwteWfV
이더리움 형물 상장지수펀드가 미국에서 거래를 한다는 점이 매우 기억에 남아서 가지고 왔습니다. *etf 말만 많이 들어봤지..! 도대체 뭐일까? 하고 명확하게 궁금해져서 찾아보았습니다!
*etf는 특정 지수를 추동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 라고 합니다:)
etf의 장점은 지수의 구성품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 + 거래소 상장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합니다!
좀 더 정리가 필요하겠지만 주식처럼 펀드를 투자할 수 있는 상장 펀드라고 볼 수 있을거 같네요..! (불명확할 수 있습니다!) => 한번 이건 날을 잡고 etf의 용어들을 뜯어서 가지고 와보겠습니다!
코인의 가장 큰 강점은 역시 유동성과 분산형인 블록체인의 활용인거 같은데 펀드에서는 어떨지!
그리고 외부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트럼프의 당선확률 높아졌고 마이크로소프트의 it 대란으로 주목이 되고 있네요!
2. 2300달러로 내려선 금 가격 조정은 일시적... 강세전망 잇따라
☞ https://news.uplus.co.kr/s/ZezzMhD
국제 금 가격이 하락하여 2300달러 선으로 밀려났는데요! 이는 7월 10일 이후 10일만으로 전날 대비 금 거래 가격이 57.30으로 약 -2.3%가 되었다고 합니다!
금 가격은 현재 상황에서 쭉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에는 2000달러였지만, 쭉 상승하여 현재는 2300선 이상을 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의미 있는 부분은 미국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양적완화)에 대한 기대담과 중동과 러시아의 금 **매수, 중앙은행의 금 ***매입을 이유등으로 들고 있습니다.
*양적완화 : 제로 수준의 금리를 더이상 낮출 수 없는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국채, 회사채 등의 금융자산을 매입하여 시장의 유동성을 추가 공급하는 방식. 이는 중장기적으로 시장금리 하락을 유도하는 효과
**매수 : 주식을 사는 것
***매입 : 주식을 파는 것
위의 이유들로 실물자산의 강세는 그래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실물자산 금의 경우 지난 6개월을 기준으로 누적 수익률이 32.41%가 나왔다는 점에서 수익률이 무척 높게 나왔다는 점은 주목할한거 같습니다! 특히나 미 대선의 행방을 알기 어려워진 형 상황에서 금을 주목해보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의 시사(경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31 - 티메프 사태 진행 현황, 각 시중 은행들의 금리 인상 (0) | 2024.07.31 |
---|---|
0731 - 오늘의 시사 : 티메프 사태에 따른 커머스 주가 반짝, 배춧값 급등 (0) | 2024.07.31 |
0727 - 오늘의 시사 : 상속세, 티메프 사태 (1)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