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알바 어플 tica 소개, 금액 입력법, 알바 시간 산정, 세금 계산, 주휴수당, 유의사항, 어플 사용법

빈노트 2024. 6. 28. 23:18
728x90

안녕하세요! 빈노트입니다:) 빈노트의 차곡차곡!
오늘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알바 어플 티카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하우머치나 알바 어플들을 봤는데 결국은 이 어플로 정착! 정착한 이유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첫 화면 

구성은 크게 홈 + 쉼터 이렇게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홈에서는 본인의 근무지를 추가하면 됩니다! 투잡이나 시급 프리렌서 분들에게 좋은 시스템! 


근무지의 이름과 급여 유형을 기록해주면 됩니다! 일당 / 주단위 / 격주 / 매월 등으로 나누어지니 체크하면 좋겠죠? 
 

메인 화면 

제가 실제 근무한 화면인데요! 본인 근무 요일에 시간을 추가하면 됩니다! 이렇게 보면 본인의 근무 시간과 얼마인지 나오니까 딱 직관적이죠? 


그러면 본인의 근무 시간을 추가해볼까요? 
본인의 근무 일정이 고정적이라면 자주 사용하는 근무 시간을 지정해서 날짜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한번 설정 해두고 반복하면 되니까 편하죠! 
 

근무 시간 설정 

근무 시간 설정하는 화면은 이렇게!

본인 근무 일이 휴일 / 주말의 경우 150%가 해당이 된다면 체크 해주면 됩니다! 


그 후 본인의 근무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기입해주면 됩니다! 


만약 본인의 근무 시간이 오후 1시 ~ 3시까지라면 사진과 같이 기입되겠죠? 만약 초과 근무나 휴게 시간이 있다면 별도로 하단에 기입해주면 됩니다! 

시급도 변동이 가능하니까 체크! 이러고 저장을 해주면 날짜에 저장이됩니다:) 

그러면 금액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 알아보죠! 


저의 6월 근무 시간과 금액은 다음과 같은데요! 시간에 따라 이렇게 정산되었네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주휴수당과 세금은 제외라는 점! 만약 업체에서 주휴수강과 세금이 있다면 자세히 보기를 들어가야 합니다! 

자세히 보기를 들어가면 앞과 같이 동일하게 근무 시간과 휴가 등의 정보가 나오는데요! 

맨 밑에 보게 되면 주휴수당과 세금을 설정하는게 있습니다! 

세금 및 주휴수당 설정

개인사업자/프리랜서 3.3% 
4대 보험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세금의 경우 설정 / 자세히 보기를 들어가게 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세금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본인이 내는 세금도 이렇게 별도로 체크해주면 됩니다. 

만약 본인이 주휴 수당이 해당된다면! 화면과 같이 나타납니다! 


본인이 언제 근무해서 주당 15시간이 넘었기 때문에 주휴수당이 언제 나오는지 얼마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시급을 기준으로 나오기 때문에 체크 한번씩 해보면 좋겠죠? 


총합으로 보는 방법 이외에도 차트와 일별로 나누어서 볼 수 있는데요! 

차트별로 본인의 근무 시간이 어떤지 휴가나 쉬는 날이 있었다면 퍼센트 비율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별로 근무 시간과 금액도 알 수 있으니 금액 차액이 안맞다면 여기서 체크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오늘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알바 어플 tica / 티카를 소개해봤는데요! 개인적으로 UI와 입력하는게 편하고 지속적인 업데이트 +  로그인이 필수가 아니다보니 편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바어플 티카 추천합니다!  

 

728x90